차이
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apache_httpd_보안취약점_점검 [2018/09/20 17:45] koov 만듦 |
apache_httpd_보안취약점_점검 [2019/11/12 11:26] (현재) koov |
||
---|---|---|---|
줄 16: | 줄 16: | ||
</code> | </code> | ||
</WRAP> | </WRAP> | ||
- | + | ||
+ | |||
+ | ===== Apache httpd logfile permission(umask) ===== | ||
+ | |||
+ | 아파치 웹서버 로그 파일은 기본적으로 644로 생성된다. 이것은 실행하는 루트의 기본 umask가 0022로 설정되어있기 때문이다. | ||
+ | 따라서 웹서버를 기동하는 계정의 기본 umask값만 변경하면 자동으로 설정된다. | ||
+ | |||
+ | 하지만 계정의 기본값은 그대로 두고 아파치 웹서버의 설정변경만 하고 싶은경우 아래와 같이 설정하도록 한다. | ||
+ | |||
+ | ==== envvars 사용법 ==== | ||
+ | |||
+ | apache 기동 스크립트인 ''apachectl''내에 보면 envvars 파일을 로딩하는 부분이 존재한다. (소스 설치인경우) | ||
+ | |||
+ | <WRAP prewrap> | ||
+ | <code bash> | ||
+ | # pick up any necessary environment variables | ||
+ | if test -f /APP/httpd-2.4.39/bin/envvars; then | ||
+ | . /APP/httpd-2.4.39/bin/envvars | ||
+ | fi | ||
+ | </code> | ||
+ | </WRAP> | ||
+ | |||
+ | 위와같이 envvars 파일을 로딩하는 부분이 존재한다면 ''envvars'' 파일 내에 umask 설정을 추가해주면 된다. | ||
+ | |||
+ | <WRAP prewrap> | ||
+ | <code vim envvars> | ||
+ | umask 0027 #<- 반드시 4자리 설정을 하여야 한다. | ||
+ | </code> | ||
+ | </WRAP> | ||
+ | |||
+ | ==== apachectl 자체를 수정하는 방법 ==== | ||
+ | 만약 ''apachectl''스크립트 내에 envvars를 로딩하는 부분이 없다면 (Redhat JBCS(Jboss core services)의 경우 존재하지 않음) apachectl 내에 직접 수동으로 umask 설정을 넣어주면 된다. | ||
+ | |||
+ | <WRAP prewrap> | ||
+ | <code vim> | ||
+ | umask 0027 #<- 이경우에도 반드시 4자리로 설정한다. | ||
+ | </code> | ||
+ | </WRAP> | ||
+ | |||
+ | 위의 모든 방법을 써도 안되는경우 그냥 ''실행하는 계정의 umask''값을 수정하는 수밖에 없다. | ||
+ | |||
+ | |||
+ | |||
+ |